사주명리학의 기본, 음양오행의 의미를 알아보자
음양오행 이론은 사주 명리학의 바탕이 됩니다. 음양의 상반된 원리의 균형을 통해 만물은 존재하고, 오행의 상호작용으로 세상의 변화를 이끕니다. 사람마다 가진 음양오행의 이론으로 건강 및 성격, 운세를 예측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음양오행의 안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음과 양
1. 음 (陰)
약하고 부드러운 성질을 가진 음은 차갑고 느린 특성이 있습니다. 여성상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천간의 을목, 정화, 신금, 계수, 기토가 이에 해당됩니다.
지지의 묘목, 사화, 유금, 해수, 미토, 축토가 이에 해당됩니다.
사화와 해수는 해석 시에 양으로 읽습니다.
이유는 밑에서 따로 해설하겠습니다.
2. 양 (陽)
강하고 딱딱한 성질을 가진 양은 뜨겁고 빠른 특성이 있습니다. 남성상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천간의 갑목, 병화, 경금, 임수, 무토가 이에 해당됩니다.
지지의 인목, 오화, 신금, 자수, 진토, 술토가 이에 해당됩니다.
오화와 자수는 해석 시에 음으로 읽습니다.
3. 사화와 해수, 오화와 자수
사화와 해수가 해석 시에 양으로 읽는 이유는 그 지장간에 있습니다. 지장간의 글자가 모두 양으로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사화는 양의 기운이 6이며, 해수는 음의 기운이 6입니다.
오화와 자수를 해석할 때에 음으로 읽는 이유는, 조금 더 복잡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오화는 음의 기운이 1, 양의 기운이 5로 구성됩니다. 양의 열기를 가운데로 모으는 음의 작용을 합니다.
자수는 음의 기운이 5, 양의 기운이 1로 구성됩니다. 음의 기운으로 양의 알맹이를 지키는 것입니다.
오행
계절을 나타내고, 운동성, 시간성, 온도성, 방위성을 나타내며 신체와 숫자, 한자의 의미도 지닙니다.
또, 같은 오행이라도 성질이 음양에 따라 다릅니다.
1. 목 (木)
오행 중 목의 기운은 봄, 청색, 유아기부터 10대 초반을 의미합니다.
천간의 갑목과 을목, 지지의 인목과 묘목이 있습니다.
목이 사주 구성에 있으면 인정받고 싶어 하는 마음이 있고, 높이 올라가려 하며 순수한 호기심이 있습니다.
목이 사주 구성에 있는 사람이 문제가 발생하면 화를 내고 공포심을 느낍니다. 소리를 지르기도 합니다.
2. 화 (火)
오행 중 화의 기운은 여름, 적색, 청년기를 의미합니다.
천간의 병화와 정화, 지지의 사화와 오화가 있습니다.
화가 사주 구성에 있으면 명랑하고 순간에 집중하는 능력이 탁월합니다. 하지만 과거를 잘 기억하지는 않습니다.
화가 사주 구성에 있는 사람이 문제가 발생하면 불안감이 생기며 감정기복이 있고 웃음을 참지 못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3. 토 (土)
오행 중 토의 기운은 환절기, 황색, 중년기를 의미합니다.
천간의 무토와 기토, 지지의 축토와 미토가 있습니다.
토가사주 구성에 있으면 중후함이 있고 중재를 잘하며 안정성이 있다고 여겨집니다.
토가 사주 구성에 있는 사람이 문제가 발생하면 정신력이 저하되고 무기력해집니다. 혼잣말을 하기도 합니다.
4. 금 (金)
오행 중 금의 기운은 가을, 백색, 장년기를 의미합니다.
천간의 경금과 신금, 지지의 신금과 유금이 있습니다.
금이사주 구성에 있으면 냉정하며 차분합니다. 견고하기 때문에 변형의 가능성 또한 적습니다. 불에 의해 변형됩니다.
금이 사주 구성에 있는 사람이 문제가 발생하면 기관지 증세가 나타나고 기운이 떨어집니다. 슬퍼하고 울기도 합니다.
5. 수 (水)
오행 중 수의 기운은 겨울, 흑색, 노년기를 의미합니다.
천간의 임수와 계수, 지지의 해수와 자수가 있습니다.
수가사주 구성에 있으면 지혜롭습니다. 또한 안으로 수렴하는 기운이기 때문에 남에게 비밀을 드러내지 않습니다.
수가 사주 구성에 있는 사람이 문제가 발생하면 두려움이 생기고 손발이 저립니다. 속이 뒤틀리기도 합니다.
나가며
다음에는 오행의 생극제화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사주명리학 > 음양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행의 생극제화(生剋制化), 사주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0) | 2025.01.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