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묘화실의 뜻과 궁성론에 대해 알아보자
사주팔자에서 사주(四柱)는 네 개의 기둥이라는 뜻이며 팔자(八字)는 여덟 개의 글자라는 뜻입니다. 이 사주팔자를 해석하는 데에 있어서 근묘화실이란 무엇인지와 궁성론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묘화실(根苗花實)
1. 한자 풀이
근묘화실의 한자 그대로의 풀이로는 뿌리 근(根), 모종 묘(苗), 꽃 화(花), 열매 실(實)입니다.
뿌리는 기본적인 토대, 사람의 본질과 근본적인 성격, 타고난 능력과 환경을 의미합니다.
모종(싹)은 뿌리에서 싹이 올라오는 형상입니다. 가능성과 시작 또는 성장의 기운을 나타냅니다.
꽃은 변화를 뜻합니다. 싹이 자라 꽃을 피우는 과정으로 성숙과 전환을 의미하고 성과를 준비하는 단계입니다.
열매는 최종 결실과 결과를 나타냅니다. 개인의 노력과 환경적인 요소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성취를 의미합니다.
인생의 전반적인 흐름을 표현하는 네 글자로서 인생을 포괄적으로 설명합니다.
2. 의미
연주는 뿌리, 월주는 모종, 일주는 꽃, 시주는 열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연주는 조상이며, 월주는 부모, 일주는 나 자신, 시주는 자손을 의미합니다. 이를 대입해 보면 조상은 나의 뿌리이고 부모가 나 자신이라는 꽃을 맺게 해 주셨으며 자손은 나의 열매라는 것입니다. 좋은 뿌리에서는 좋은 모종이 돋아납니다. 그리고 그 모종이 잘 자라나려면 조후가 맞아야 합니다. 그리하여 피워낸 꽃은 비로소 열매를 맺습니다.
따라서 사주분석을 시작할 때에 제가 제일 우선적으로 판단하는 부분이 조후입니다.
조후에 관해서 짧게 설명하자면, 사주가 너무 춥지는 않은지, 또 너무 뜨겁지는 않은지 판단합니다. 습한지 건조한지는 그다음입니다. 한난조습(寒暖燥濕)을 판단하여 부족한 오행을 찾습니다. 이 과정의 궁극적 목표는 결국 모종을 잘 키워내고 꽃을 피워내기 위한 것입니다.
좋은 뿌리가 없더라도 좋은 모종을 돋게 하고 꽃을 피우려면 필연적으로 조후의 영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생로병사를 의미하는 궁성론은 사주명리학의 기초 중 기초라고 할 수 있습니다.
궁성론(宮星論)
궁성론은 대만의 명리학자 하건충의 이론입니다.
연과 월은 지구의 공전으로 보고 일과 시는 지구의 자전으로 보기도 합니다.
연과 월은 사회적이고 공적인 공간이며 일과 시는 개인적이고 사적인 공간입니다.
천간과 지지, 지장간
천간은 공간성을 나타내고 지지는 시간성을 나타냅니다.
천간은 정신, 드러난 생각으로 계획이나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생각을 의미합니다.
지지는 환경으로 어디서 언제 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생각을 의미합니다.
지장간은 감춰진 생각으로 무엇을 할지에 대한 생각을 의미합니다.
1. 연주
세계, 국가를 뜻하고 인생으로 보았을 때에는 유년기를 의미합니다.
연간은 통제궁(편재궁)으로 사회적인 첫인상을 의미합니다.
연간이 강하면 유년기가 안정적이며 외형적으로 두드러지게 됩니다.
연간이 약하면 유년기의 환경이 조금 부족할 수 있고 외부적으로 보이는 성과가 저조합니다.
년지는 수용궁(정인궁)으로 개인의 근본적으로 물려받은 영향을 뜻합니다. 공부태도를 뜻하기도 합니다.
년지가 조화로우면 안정적입니다.
년지가 약하거나 충이 되면 가정 내의 갈등 및 유년기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월주
사회를 뜻하고 인생으로 보았을 때에는 청년기를 의미합니다.
월간은 표현궁(식신궁)이며 부모의 성격 또는 개인의 직업적 성향을 말합니다. 특히 직업적인 안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월간이 강하면 사회적 관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월간이 약하거나 충이 되면 직업적으로 어려울 수 있고 사회적 관계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월지는 사회궁(정관궁)으로 직업의 기반을 뜻합니다. 일간이 살아가는 환경, 사회를 의미하므로 중요하게 봅니다.
월지는 사주의 근본적인 에너지를 결정합니다.
월지가 조후를 잘 맞추면 인생이 전반적으로 안정되고, 성장 과정의 지원이 충분하다고 봅니다.
월지가 약하거나 충이 되면 성격적으로 불안정하거나 성장 과정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일주
개인을 뜻하고 인생으로 보았을 때에는 장년기를 의미합니다.
일간은 나 자신을 대표하므로 개인의 성격과 기질, 가치관을 나타냅니다.
일간은 사주해석의 기준이 됩니다.
일간이 강하면 자립심이 강하고 주체적인 성향을 갖게 됩니다.
일간이 약하면 외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고 타인의 도움에 의존하기도 합니다.
일지는 정재궁으로 배우자궁을 의미하며 개인의 내면적 성향을 의미하므로 중요하게 봅니다.
일지는 특히 배우자와의 정서적인 관계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일지가 강하고 조화를 이루면 내면적으로 평화롭고 안정적인 결혼 생활을 하게 됩니다.
일지가 약하거나 충이 되면 내면의 불안정이 있고 결혼 생활에서도 갈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4. 시주
개인의 심리를 뜻하고 인생으로 보았을 때에는 노년기를 의미합니다.
시주는 40대 중반 이후에 사용하게 되므로 젊은 나이에는 잘 영향이 없을 수 있습니다. 운이 오면 발동되어 잘 사용합니다.
시간은 종교궁(편인궁)으로 말년의 삶의 목표입니다.
시간은 자녀와의 관계와 성공 가능성에 영향을 줍니다.
시간이 강하면 말년의 생활이 풍요롭고 안정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시간이 약하거나 충이 되면 말년의 생활이 불안정하거나 건강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시지는 희망궁(상관궁)으로 말년의 환경입니다.
시지는 또한 내가 만들어가는 나만의 비밀 공간이라고 봅니다. 만약 이 자리에 편관이 있으면 남에게 말하지 못할 아픔이 있다고도 합니다.
시지는 자녀의 성향, 성공여부 또는 관계를 나타내게 됩니다. 사주의 완성도를 평가하기도 합니다.
시지가 강하고 조화를 이루면 자녀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말년의 생활이 될 수 있습니다.
시지가 약하거나 충이 되면 말년에 외로움이 있을 수 있고 자녀와의 관계에서도 갈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