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12운성

12운성 알아보기 -1 (십이운성의 의미, 계절, 양포태, 음포태)

명사주 2025. 1. 9. 13:47
728x90
반응형
SMALL

십이운성(十二運星)에 대해 알아보자

십이운성이란 우주 생성과 소멸의 반복을 명칭으로 사용합니다. 삶은 윤회한다는 표현인데요, 보이지 않는 영역과 보이는 영역으로 나뉘며 이것은 또 양포태와 음포태로 나뉩니다.

또한 십이운성을 참고하여 사주 분석 시에 해당 운성이 어떻게 작용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십이운성의 특징과 양포태와 음포태의 차이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십이운성과 포태법, 양포태, 음포태

1. 십이운성(十二運星) 이란

1. 십이운성의 의미

12 운성은 사주 분석에서 운세가 어떻게 흐를지 나타내줍니다.

각각의 운성은 성장, 쇠퇴, 변화, 안정 등 다양한 인생의 단계를 상징하며, 사람의 운과 운명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사주 분석 시 중요한 전환점이나 시기를 파악하고 예측하는 데에 도움을 얻습니다.

 

2. 십이운성의 종류

12 운성에는 장생(長生), 목욕(沐浴), 관대(冠帶), 건록(乾祿), 제왕(帝旺), 쇠(衰), 병(病), 사(死), 묘(墓), 절(絶), 태(胎), 양(養) 이 있습니다.

 

3. 계절의 특징

인(寅)과 묘(卯), 진(辰)은 봄, 사(巳)와 오(午), 미(未)는 여름, 신(申)과 유(酉), 술(戌)은 가을, 해(亥)와 자(子), 축(丑)은 겨울을 의미합니다.

12 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계절적 변화의 특징 또한 함께 이해해야 합니다.

이전 계절, 자기 계절, 다음 계절, 반대 계절의 의미는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여름(화왕절)은 이전 계절이 봄(목왕절), 자기 계절은 여름(화왕절), 다음 계절은 가을(금왕절), 반대 계절은 겨울(수왕절)입니다. 토의 경우에는 토왕절이라는 것은 없으므로 계절에 해당하지 않고, 각 계절의 끝부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토를 생하는 것은 화입니다. 따라서 화토동법(火土同法)이라 하여 화(火) 일간과 같이 봅니다.

 

 

2. 양포태

1. 양포태의 의미

양포태는 양간(陽干)이 순행으로 진행하는 12 운성을 의미합니다.

이전 계절에서 힘을 받아 자기 계절에서 힘이 셉니다.

양간 기준으로 지지에 대입하여 각 운성을 적용하게 됩니다.

각 지지일 때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를 판단하는 데에 궁성론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근묘화실과 궁성론

 

양포태법은 양간 갑목(甲), 병화(丙), 무토(戊), 경금(庚), 임수(壬) 일 때 적용합니다.

 

2. 양포태의 천간(千干), 계절의 흐름

갑목의 삼합은 해, 묘, 미이며 해수에서 생하고 묘목에서 왕이며 미토가 묘입니다.

계절로 이야기하면 겨울에 싹을 틔워서 봄에 가장 왕성히 자라나서 여름이 끝날 때에 가을을 대비한 땔감으로 베어진다는 흐름입니다.

 

병화의 삼합은 인, 오, 술이며 인목에서 생하고 오화에서 왕이며 술토가 묘입니다.

계절로 이야기하면 봄부터 햇살이 강해져서 여름에 가장 덥고 가을이 끝날 때에는 겨울에 다다르니 춥고 해가 짧아지는 흐름입니다.

 

무토는 위에 설명한 화토동법을 적용하여 병화와 같다고 봅니다.

 

경금의 삼합은 사, 유, 축이며 사화에서 생하고 유금에서 왕이며 축토가 묘입니다.

계절로 이야기하면 여름에는 가을의 벌목을 대비해 도끼를 미리 제련해 두기 시작합니다. 가을에는 제련한 도끼로 벌목을 하므로 도끼가 가장 쓰임이 많습니다. 그리고 겨울이 끝나면 쓰임을 다한 도끼는 창고에 다시 잘 보관해 두는 흐름입니다.

 

임수의 삼합은 신, 자, 진이며 신금에서 생하고 자수에서 왕이며 진토가 묘입니다.

계절로 이야기하면 가을에 가을비가 내리기 시작하고 조용히 휴식을 준비합니다. 겨울이 되면 물이 얼며 더욱 응축하고 에너지를 저장합니다. 그리고 봄의 끝에서 새싹을 틔우기 위해 다시 흘러가기 시작합니다.

 

 

 

 

 

 

 

2. 음포태

1. 음포태의 의미

음포태는 음간(陰干)이 역행으로 진행하는 12 운성을 의미합니다.

다음 계절에서 힘을 받아 자기 계절에서 힘이 셉니다.

음간 기준으로 지지에 대입하여 각 운성을 적용하게 됩니다.

각 지지일 때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를 판단하는 데에 궁성론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근묘화실과 궁성론

 

음포태법은 음간 을목(乙), 정화(丁), 기토(己), 신금(辛), 계수(癸) 일 때 적용합니다.

 

2. 음포태의 천간(千干), 계절의 흐름

음간의 계절의 흐름이라 함은 사실 양간의 계절의 흐름이 정해지면 자연스럽게 정해진다고 봅니다.

달의 모양이 태양에 따라 정해지듯, 음간의 흐름 또한 양간에 따라 정해진다는 것입니다.

양간이 장생일 때에 사 (양생음사, 陽生陰死)

양간이 건록일 때 제왕

양간이 사일 때 장생 (음생양사, 陰生陽死)

728x90

을목은 오화에서 생하고 인목에서 왕이며 술토가 묘입니다.

정화는 유금에서 생하고 사화에서 왕이며 축토가 묘입니다.

기토 위에 설명한 화토동법을 적용하여 정화와 같다고 봅니다.

신금은 자수에서 생하고 신금에서 왕이며 진토가 묘입니다.

계수는 묘목에서 생하고 해수에서 왕이며 미토가 묘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